[정보통신기사][정보통신기기]정보통신시스템

데이터 전송계

데이터 단말장치(DTE : Data Terminal Equipment)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입출력장치로 입출력 기능과 정보를 정확하게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담당, 전송할 데이터를 부호로 변환하거나 처리하는 장치

기능

  • 데이터 입/출력 기능
  • 데이터 수집과 저장 기능
  • 데이터 처리 기능
  • 통신 및 통신제어 기능

일반적인 분류 : 단말장치, 범용 단말장치, 전용 단말장치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 : 지능 단말장치, 비지능 단말장치(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없는 종래의 단말장치로서 Dummy Terminal이라고도 함

신호변환장치 또는 회선종단장치

DTE로부터 나오는 2진 신호를 통신회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통신회선에서 들어온 신호를 컴퓨터에 적합한 원래의 2진 신호로 변환함

터미널과 통신제어장치를 통신회선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변환장치임(아날로그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변복조기(MODEM)사용, 디지털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Digital Service Unit) 사용

통신회선

단말장치와 정보처리시스템, 단말기기 상호간 그리고 컴퓨터 상호간의 물리적인 통신로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말장치(DTE)와 신호변환장치(DCE)간의 연결을 담당, 커넥터의 크기, 전기적인 신호, 각 핀의 상호기능과 응용절차 등에 대한 규졍

통신제어장치(CCP :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er)

데이터 전송회선과 컴퓨터 사이에 위치, 이들을 결합하기 위한 장치

문자 및 메세지의 조립 및 분해, 버퍼링, 전송제어, 에러의 검출 및 제어, 회선의 감시 및 제어

데이터 처리계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주기억장치, 연산장치, 제어장치), 입출력장치와 주변장치(입출력장치, 보조기억장치)로 구성,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에는 통신제어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

컴퓨터 소프트웨어 : OS, 응용 소프트웨어

통신 소프트웨어 : 통신회선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컴퓨터와 단말장치간에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